▣ HUD용 OBD2 단자의 B+상시전원을 ACC 전원으로 바꾸기-아르카나(XM3) 하이브리드 누설전류 방지작업 #1
목차
개요
2022년 르노 아르카나(XM3)하이브리드 차량을 출고한 후 계기판에 RPM이 보이지 않아서 국민HUD로 불리는 C300S-PLUS HUD를 설치했었습니다.
https://sihloh4me.tistory.com/492
XM3 E-Tech하이브리드 #6-국민HUD C300s-PLUS 장착(RPM확인)
▣ XM3 E-Tech하이브리드 #6 - RPM 확인 하기-국민HUD C300s-PLUS 장착 목차 개요 차량용 HUD의 종류가 엄청 많아졌고, 요즘 차들은 제조사에서 기본옵션으로 장착되어서 출고되기도 합니다.저도 HUD에
sihloh4me.tistory.com
그렇게 잘 사용해 오던 중 또 최근에는 트렁크에 설치된 하이브리드 12V배터리(르노순정 AGM 60Ah, 680 CCA)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해서 12V배터리 모니터링을 해 오고 있습니다.
르노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230V 고전압배터리와 12V 저전압 배터리가 장착되어있습니다.
저는 출퇴근 위주로 운행하다보니 하루 약1~2시간 주행, 22~23시간 주차로, 주차를 주로 하는 편이라서 출고 3년차 되어가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AGM 12V배터리 상태가 궁굼했습니다. 작년 2024년도에 1회 방전도 한번 있었구요. 4주 정도 지하주차장에 주차를 해 놓고 방치했더니...영하 12도 떨어지던 날 방전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유튜브나 카페등등 인터넷에서 알아보니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가 저렴하고 심플하게 알리에서 판매를 하고 있었습니다.
르노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은 12V배터리가 트렁크 하단에 설치되어있어서 바로바로 점검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구입해서 장착해 보았습니다.
https://sihloh4me.tistory.com/578
르노코리아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12V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설치
▣ 르노코리아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12V 배터리 모니터 설치-ANCEL BM200 PRO 하이브리드 차동차도 내부 전장류(오디오 등)를 사용하기 위한 12V 배터리가 장착됩니다.현대-기아 일부 하이브리드
sihloh4me.tistory.com
●문제확인
제 차량의 12V 저전압 배터리 모니터링을 해 보니....
(2022년12년식 XM3하이브리드 차량에는 AGM 60Ah 순정배터리가 장착됨)
1시간정도 주행하면 SoC가 100%까지 충전은 되는데...이게 반나절 정도 약12시간쯤 주차 해 놓으면 30%이상까지 SoC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모니터링 장치가 12V배터리에 직결되어 있다보니 그 장치가 오히려 배터리를 주차중에 사용해서 SoC가 엄청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되는 게 아닌지 의심해 보았습니다.
( 이 가정은 배터리모니터링장치가 정확하게 모니터링을 한다는 가정을 했을 때 입니다)
배터리모니터링 장치(ANCEL BM200 PRO) 스펙상으로는 소비전력이 평균2.3mA 이기 때문에, 하루에 55mAh사용으로 약 724일 동안 사용해야지 12V배터리(40A 기준)가 방전이 될 꺼라는 설명( 제조사의 기술지원 부서에 문의 후 이메일로 답변 받음 )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차량 시동을 거는 용도로 사용한다면 최저 11.3V이상은 유지를 하고 있어야지 시동거는데 문제가 없기에....그걸 감안한다면 724일 보다는 더 줄어들 것 입니다.
=> 아래는 ANCEL 유튜브채널 관리자에게 문의한 후 답변을 받은 것을 캡쳐한 이미지입니다.
설명에 따르면 장치 설치 시에 전압이 일시적으로 높게 측정되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본체를 배터리에서 분리한 후 2시간 이후에 다시 연결해 보라는 설명이 있습니다. 차후 저전압차단 모듈 설치시에 이 방법대로 재 설치 해 보겠습니다.
하지만, 이 장치가 SoC를 정확히 측정해 주는 게 맞다면 SoC가 약 12시간 주차후에 30%정도 떨어진다는 것은 그 시간동안 모니터링 장치가 12V배터리를 많이 사용한다는 결론 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제가 알기로 르노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은 "12V배터리 보호기능"이 있어서, 차량 시동을 끈 후 문닫고 일정시간(약 10분 정도)이 지나면 차량에 모든 ACC 전류 및 일부 상시전원퓨즈의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이 작동되어서 어느정도 12V배터리 저전압 방전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약 2~3주 장기 주차를 해 놓더라도 12V배터리 방전은 없었습니다. (어느 유튜브 채널에서는 5주 지나도 방전이 안된분도 계시더군요!)
● 12V배터리 소모 원인
① HUD가 OBD2 단자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시전원(OBD2 16번pin이 상시전원임)을 사용해서 발생되는 문제로 추정됨 (증상 확인 모니터링 장치 화면 캡쳐)
다음날 오전 출근전 SoC확인 시 39%로 확인, 밤사이에 약 20% 정도 배터리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됨
HUD 장치가 OBD2로 연결되어서 상시전원을 사용해서 배터리 충전률이 줄어들었는지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
HUD가 연결된 OBD2 단자를 분리 후 SoC 상태를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이 날 테스트 했을 때는 주차 후 OBD2 케이블을 분리하고 주차를 해 놓았고, 다음날 오전 출근전에 SoC를 확인해보니 49% 였던 게 51%로 오히려 SoC가 올라간 것으로 측정이 됨.
아마도 SoC가 올라간 이유는 주차 완료 후 절전모드로 진입전까지는 고전압배터리에서 12V배터리로 충전이 약간은 진행이 되기 때문에 주차후에 SoC가 올라갔을 것으로 추정됨으로 거의 소모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 여기서 약간의 변수가 있습니다. 바로 기온입니다. 겨울에 측정을 했기 때문에 측정했을 당시 기온이 급격이 내려간 경우에는 기온변화로 인한 SoC 변화도 영향을 주었을 것임을 생각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이 테스트도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배터리모니터링 장치로 확인하는 SoC변화는 변수가 많은 것 같습니다. 즉, 정확하지 않습니다. 참고용도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위 ①번 HUD 관련 누설전류 사용 문제는 며칠정도는 HUD를 OBD2단자에서 분리한 상태로 주차 시 SoC가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나, 며칠 지난 이후에는 다시 여전히 HUD를 분리해놓은 상태로 10시간 이상 주차 후 SoC가 다시 줄어든 것이 확인되어 다른 누설전류가 있거나 아래 ②번 문제가 더 심각해 진 것으로 추정 됩니다.
①번 HUD가 OBD2 단자의 상시전원을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는 12V배터리보호모드 작동으로 OBD2 상시전원도 차단이 되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모니터링 장치 사용전에 약 2주 정도 장기 주차할 당시에도 HUD는 그대로 OBD2에 연결해 놓은 상태로 HUD가 절전모드로 꺼진 상태로 주차를 했을 때도 차량은 방전된 적은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는 HUD가 절전모드로 들어가면 소모전류가 급격이 줄어들기 때문에 12V배터리소모를 많이 하지 않아서 별다른 방전문제가 발생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까지는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12V배터리보호모드가 어느정도의 전류까지 차단을 해 주는지를 정확히 알 수가 없어서 지금 하나하나 연구(?)하면서 테스트를 해 보고 있는 중입니다.
지금까지의 결론은 실내퓨즈박스에 있는 퓨즈배치도를 유심히 보면서 몇몇 퓨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퓨즈가 12V배터리보호모드에 연관되어 보호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그 만큼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이 만들어질 때 12V배터리 방전에 대한 대비를 많이 해 둔 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분은 유튜브에서 보니 약 5주 정도 장기주차를 하고와서도 차량이 방전없이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리는 걸 봤었는데..아마도 이런 경우가 12v배터리보호모드 때문에 어느정도로 방전을 방지해 주고 있는 거 같습니다.
"ANCEL BM200PRO 배터리모니터링장치" 처럼 12v배터리에 직결해서 설치하는 장치가 없다면 12v배터리 보호모드가 동작되면 대부분의 누설전류까지도 차단을 해 주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지금까지의 몇 몇 정황상 추정되는 아르카나 하이브리드의 12v배터리 보호모드의 기능인 거 같습니다.
②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BM200 PRO)가 제품스펙상으로는 평균 2.3mA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그 이상의 전류를 사용해서 발생되는 12V 배터리 과방전 증상인 것으로 추정됨
HUD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여전히 모니터링 장치만 연결해서 주차 후 테스트 해 보면 또 다시 여전히
12V 배터리 SoC는 이전과 비슷하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충전률이 높으면 더 많이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전날 100% 완충된 SoC 상태 로 주차를 시작했고, 이때 배터리 온도가 11도
다음날 오전에 확인해 보니 68% SoC로 확인됨, 날씨는 좀 추워서 배터리 쪽 기온은 4도!
온도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여전히 12V배터리 SoC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100%였는데..다음날 아침에 68%까지 내려갔다는 것은 밤 사이 32%가 줄어들었다는 것 이니까요.
충전량이 높으면 그만큼 더 많이 소모되는 것 같네요.
이 문제 관련해서는 아래 조치2 번에서 저전압차단모듈을 설치해서 테스트 해 볼 예정입니다.
③ 기타 다른 장치가 상시전원으로 연결되어서 상시전류를 사용하는 암전류가 발생되었고, 12V 배터리 보호모드 진입시에도 상시전원이 사용되면서 발생되는 문제로 추정됨
-이 문제도 #2포스팅에서 저전압차단모듈과 볼트메터+ 전원스위치를 설치한 상태로 테스트를 진행 해 볼 예정입니다.
● 조치1
원인①에 대한 조치로 HUD C300S-PLUS 관련 OBD2 16번 핀 B+ 상시전원을 ACC로 변경하기 위해서 , 스위치 케이블을 개조 해 보았습니다.
아래 정보를 보시면 OBD2 단자의 16번 핀이 상시전원(12V B+)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차체프레임과 연결되는 마이너스는 아마도 5번 핀 인 것 같습니다. Ground 라고 표기 되어있네요.
HUD 메인케이블에 작업하기 보다는 이후 HUD를 교체할 수도 있으니 사은품으로 받은 전원스위치 달린 OBD2 케이블을 개조해 보았습니다. 이 케이블이 없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서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OBD2 스위치 케이블- 쿠팡 구매정보 확인
OBD2분배 연장케이블 OBD스위치/온오프 케이블 ELM327 차량스캐너 Y분배기 L자케이블 60CM - 내비게이
쿠팡에서 OBD2분배 연장케이블 OBD스위치/온오프 케이블 ELM327 차량스캐너 Y분배기 L자케이블 60CM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내비게이션액세서리 제품도 바로 쿠팡에
www.coupang.com
"이 포스팅에서 사용된 쿠팡 구매링크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링크를 통한 제품 구매 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가 테스트한 OBD2스위치케이블의 경우 9개의 핀만 결선되어있는 구조라고 합니다.
스위치케이블 개조시에는 구입하시는 스위치케이블의 특성도 확인 하시는 게 필요해 보입니다.
HUD를 먼저 연결해서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한 후 상시전원(16번Pin) 개조 작업을 하시면 큰 문제는 없을듯 합니다.
1) 제가 사용한 스위치 케이블은 확인해 보니 내부에 선이 8가닥 있었고, 적색 케이블이 16번핀 B+ 상시전원인 걸 확인 함
→ 상시전원은 스위치 케이블 제조사마다 색상배치가 다를 수 있음으로 반드시 상시전원 여부를 확인한 후 개조하시기 바랍니다. OBD2단자 16번 핀과 해당 전선을 테스터기로 통전(부저)테스트 해 보시면 됩니다.

2) 적색 선을 자르고 HUD쪽으로 가는 방향의 선을 비슷한 굵기의 전선으로 연장해 주면 됩니다.
차량에서 악세서리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실내퓨즈가 20A 정도 되니 사용하려는 실리콘전선은 20~24AWG 규격정도로 사용하면 딱 좋을 것 같습니다. 무탈피 커넥터가 연결가능한 전선규격도 18~22AWG임으로, 이런 걸 잘 확인해 가면서 알맞은 전선을 선택,구입하셔서 연장하시면 됩니다. AWG는 숫자가 작을수록 굵은 전선입니다.
*HUD가 사용하는 전류가 낮으니 5A이하로 사용하는 기준으로 실리콘전선을 구입하셔도 됩니다.

오토크루 무탈피 T자형 전선연결 커넥터 H1 AC-TL90 - 접지용품 | 쿠팡
쿠팡에서 오토크루 무탈피 T자형 전선연결 커넥터 H1 AC-TL9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접지용품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C-20) 20AWG 실리콘케이블 (빨강5m 검정5m) - 전선/케이블 | 쿠팡
쿠팡에서 (C-20) 20AWG 실리콘케이블 (빨강5m 검정5m)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전선/케이블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5색DIY 전선 케이블 실리콘 와이어 30/26/22/20/18/16 AWG
5색 DIY 전선케이블 실리콘 와이어 30/26/22/20/18/16AWG UL1007, 16AWG/25M/..., 1개 - 기타전기설비부자재 |
쿠팡에서 5색 DIY 전선케이블 실리콘 와이어 30/26/22/20/18/16AWG UL1007, 16AWG/25M/..., 1개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기타전기설비부자재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www.coupang.com
전선 연장 후 OBD2 단자의 꼽아지는 부분(암)의 핀을 테스터기로 통전을 확인해 봅니다.
삐~소리가 나면서 전류가 흐르면 연장한 전선이 통전이 잘 되는 겁니다.ㅋㅋ

3) 처음엔 이렇게 HUD 전원선만 연장해서 퓨즈박스 ACC 퓨즈로 연결하기 위해서 길게 선만 빼 놓았고 마무리 했으나

4) OBD2 16번 핀의 B+상시전원을 차후에 쓸 일이 있을것 같아서 다시 1자 무탈피커넥터로 연결해서 달아놨습니다.
퓨즈박스로 연결되는 쪽은 듀얼퓨즈 커넥터로 연결해 놨구요.

오토크루 무탈피 T자형 전선연결 커넥터 H1 AC-TL90 - 접지용품 | 쿠팡
쿠팡에서 오토크루 무탈피 T자형 전선연결 커넥터 H1 AC-TL9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접지용품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 무탈피 전선 커넥터와 실리콘 전선 구입 시 주의 사항
반드시 연결하려는 전선의 굵기와 허용전압과 허용전류를 참고해서 사용하려는 환경에 맞는 규격으로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전선 규격과 단위
구리전선과 실리콘 전선은 같은 규격이라고 하더라도 허용전압과 허용전류값이 다름으로 차량이나 각종 DIY 작업시에는 내구성이 더 좋은 실리콘전선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SQ(Square): 스퀘어-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전선 규격
AWG: American Wire Gauge=미국전선규격표(위키백과)-미국, 캐나다 등 북미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선규격
미국 전선 규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 전선 규격(American wire gauge, AWG), 혹은 브라운 & 샤프 전선 규격(Brown & Sharpe wire gauge)은 1857년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주로 사용된 고체 도선의 지름과 단면적
ko.wikipedia.org


※ AWG와 SQ 규격 환산표
AWG규격은 케이블의 피복을 제외한 내심의 굵기만을 나타냄, 번호가 작을 수록 굵은 케이블
SQ=㎟ , 전선 단면적의 굶기를 나타냄


아래표에서 확인된 것 처럼 실리콘 전선의 규격별 허용전류값을 보면
차량에서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18~24AWG 규격의 실리콘전선을 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오토크루 휴즈 케이블 Mini 듀얼홀더 - 접지용품 | 쿠팡
쿠팡에서 오토크루 휴즈 케이블 Mini 듀얼홀더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접지용품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듀얼홀더 퓨즈 커넥터 구입 시 주의 사항---사용되는 퓨즈 규격에 맞는 커넥터로 구입
자동차에 사용되는 실내퓨즈박스의 퓨즈 종류가 6가지가 있습니다.
차량제조사, 차량종류, 연식, 사용부위 마다 사용되는 퓨즈가 다르니 퓨즈에 맞는 커넥터로 구입하셔야 됩니다.
*2022년식 르노코리아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실내퓨즈박스에서는 미니(Mini, 소형)규격 퓨즈를 사용합니다.
퓨즈박스
파일:퓨즈 박스.jpg Junction Block 일반적인 사람들은 퓨즈박스라고 부르나 자동차 업계에서 표준화된 말
namu.wiki
*자동차 퓨즈 규격 참고

5) 이제 위 4)에서 완성된 개조된 OBD2 HUD스위치 케이블을 실내 퓨즈박스의 ACC 퓨즈와 연결을 해 줘야 합니다.
여기서 문제는 ......
실내퓨즈박스에 있는 수 많은 퓨즈 들 중에서 ACC 전원을 지원하는 퓨즈를 찾아야 합니다.
르노 아르카나 하이브리드의 실내 퓨즈박스에서 ACC전원을 사용하는 퓨즈는 시거라이터 퓨즈와 워셔펌프 이 두가지 밖에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현대-기아 차량처럼 사용자를 위해서 임시퓨즈나 예비퓨즈 소켓자리는 마련되어있지 않습니다.
다른 퓨즈에는 연결하려고 해도, 퓨즈박스 커버에 그려진 퓨즈배치도를 봐도 퓨즈는 있는데 배치도에는 설명이 안되어 있는 게 많습니다....이건 사용하지 말라는 제조사의 의도일 것 같아서 연결하면 안 될 것 같고...^^; 사용하지 않는 빈 자리도 왠지 불안합니다. 내부에 핀은 있지만, 찍어보니 대부분 상시전원 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PASS~

6) 위 사진을 보면 현재 제 차량 실내퓨즈박스의 ACC 시거라이터 퓨즈에는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있는데....여기에 T자 무탈피 커넥터를 이용해서 함께 연결해야 할지 다른 ACC 퓨즈를 찾아서 연결해야 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물론 연결해서 사용하려는 장치가 전류를 작게 소비하는 HUD이기 때문에 T자 무탈피커넥터로 선을 따서 추가연결을 해도 상관은 없겠지만, 가능하면 블랙박스보조배터리전원ACC는 건들지 않고 다른 새로운 ACC퓨즈로 연결하는 게 안정적인 설치가 될 것 같아서 그렇게 해 보려고 합니다.
아래는 2022년12월 식 르노코리아 아르카나(XM3)하이브리드 차량의 실내퓨즈박스커버에 그려진 퓨즈 배치도 입니다.
퓨즈는 많이 꼽아져 있는데....배치도에 표시된 퓨즈 위치는 몇 가지가 안됩니다.
표시가 안 된 것은 건들지 말아라!! 라는 제조사의 표현인 거 같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배치도만 확인하자면, 확실한 ACC 퓨즈는 맨 위쪽 1열에 있는 "15A 시거라이터"와 "10A 워셔펌프" 밖에 없어 보입니다.
나머지는 대부분 상시B+퓨즈 인 거 같습니다.


좀 더 찾아보니 업그레이드 버전 배치도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좀 더 깔끔해 보입니다.
각 퓨즈의 용량까지 표기가 되었으면 좋았을 텐데..그게 좀 아쉽습니다.
색을 입혀서 더 잘 보이는 배치도도 얻을 수 있네요.
실내퓨즈 배치도는 여기 안내된 퓨즈배치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민감한 센서나 장치가 작동하는 퓨즈는 건들지 말고, 도어나 창문, 시거라이트 등 단순한 동작에 사용되는 퓨즈를 이용하시는 게 안정적일 겁니다.
8) 위 세부 배치도를 참고 했을 때, 확실한 ACC 퓨즈 자리가 시거라이터, 워셔펌프 퓨즈인데..
현재 시거라이터 퓨즈는 블랙박스 보조배터리가 듀얼퓨즈커넥터로 연결 되어 있는데, 이것 때문에 옆에있는 워셔펌프 퓨즈 자리까지 덮이게 되면서 간섭이 발생되어 사용이 불가합니다.
● 12V배터리 보호모드 확인방법
르노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실내 퓨즈박스의 퓨즈들이 대부분이 상시전원퓨즈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그 이유가...
제 나름대로 추측해 보니...아마도,...웰컴 라이트, OTA 내비게이션등등 12V 전장류들 중에서 상시전원을 사용해야 할 장치들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이 상시전원퓨즈로 연결해 놓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주차 후 시간이 지나면 이 상시전원 들도 배터리보호모드로 진입을 하도록 설정되어있어서, 12V배터리 과방전을 어느정도 예방해 주도록 안전장치가 되어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르노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는 "(12V)배터리 보호모드" 기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도 확인 해 볼 수 있습니다.
주차 후 차량 문이 닫힌채로 스마트키로 잠금버튼을 눌러주면 도어락이 잠기면서 주차 상태가 됩니다.
이 상태로 일정시간 (약 10분으로 추정)이 지나면 차량내의 대부분의 전류가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보호모드 기능이 적용된 차량에서는 상시전원으로 분류되는 실내등, 브레이크 등의 경우에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체크 해 보면 퓨즈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차량을 주차한 후 시동을 끄고 운전석에 앉은 채로 스마트키의 잠금버튼을 눌러서 차량을 잠금 시켜 줍니다.
시동끄기 직전과 시동끈 직후에는 12V배터리 충전전압이 13.2V~14.8V까지 나올겁니다.

이 상태에서 실내에서 확인하면 중앙콘솔 피아노버튼에 있는 도어잠김표시등 LED(적색)와 중앙 SOS콜 표시등이 모두 켜져 있습니다.
![]() |
![]() |
약5분 정도 지난 후 12V배터리 충전전압이 13.0V 이하로 떨어집니다. 매번 다르긴 하지만 이번에는 주차 후5분후에 12.39V로 확인됩니다.

5분후에 중앙콘솔 도어잠김표시등 (LED적색)이 꺼집니다.

8분정도 지나면 SOS콜 표시등도 꺼집니다.

좀 더 기다려보니 , 약 10분정도 지난 후 12V배터리 충전표시 모니터링 전압이 12.03V까지 떨어지면서 실내등도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실내등 퓨즈는 상시전원으로 알고 있었는데,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주차 하고 약 10분 경과되면
실내등 전원까지 차단이 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10분 경과 후 실내등 전원도 차단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음기는 그대로 작동되는 것을 보니 경음기 쪽은 10분 경과시에는 그대로 상시전원이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실내퓨즈박스의 퓨즈를 배선테스트기로 찍어봐도 상시전원과 ACC전원퓨즈를 구분할 수 있겠지만, 그냥 주차 후 스마트키로 도어를 잠금 한 상태에서 기다리면 어느정도 배터리절전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 측정하려면 아래 방법으로 운전석 도어를 열고 도어락만 밀어서 잠김위치로 바꿔서 도어가 잠긴 것으로 인식시킨 후 실내퓨즈박스를 열고 배선테스트기로 각 퓨즈를 체크 해 보면 더욱더 정확히 상시전원과 ACC퓨즈를 구분할 수 있고,
약 10분이 지난 후 배터리보호모드(슬립모드)로 진입된 이후에 작동되는 상시전원과 슬립모드에서는 차단되는 상시전원이 어떤것인지도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ACC로 사용할 대체 퓨즈찾기
1. 운전석 도어를 열고 도어락을 드라이버로 밀어넣어서 도어가 잠긴 것 처럼 인식하도록 해 줍니다.
ACC 퓨즈는 차량시동을 걸어놓은 채로 찾으면 되고, 상시전원(B+) 퓨즈는 시동을 끈 후 문을 닫고 , 약10분정도 일정시간이 지난 후 테스트를 해서 찾아야 하기 때문에 문을 열어놓고 도어락을 밀어서 문이 닫은 것 처럼 만든 후 10분 정도 후에 스마트키를 멀리 놓은채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2. 차량용 배선 테스터기로 테스트 합니다.
배선테스터기를 준비합니다. 전압표시가 되는 것도 좋고, 단순히 통전 테스트만 확인가능한 것 도 좋습니다.
요즘엔 전압도 표시되는 걸로 좋은 제품이 많네요.
차량용 배선 테스터기 고급형B 휴즈 전압 잔선 테스트 자동차 검전기, 03고급형, 1개 - 검전기/전
현재 별점 4.5점, 리뷰 155개를 가진 차량용 배선 테스터기 고급형B 휴즈 전압 잔선 테스트 자동차 검전기, 03고급형, 1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검전기/전압테스터 제품들을 확인해보
www.coupang.com
오토크루 디지털 배터리 배선 전기 전류 테스터기 DC 3V-48V - 전압안전장치 | 쿠팡
쿠팡에서 오토크루 디지털 배터리 배선 전기 전류 테스터기 DC 3V-48V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전압안전장치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보스코 자동차 배선테스터기 일반형 전선테스트 전류 전압 측정 전원 단선 체크 - 검전기/전압테
쿠팡에서 보스코 자동차 배선테스터기 일반형 전선테스트 전류 전압 측정 전원 단선 체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검전기/전압테스터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
www.coupang.com
테스트기의 집계는 퓨즈박스 위쪽 철 프레임 (- 마이너스, Ground) 에 연결 해 준 다음
3. 위에서 테스트 했듯이, 주차 후 도어를 잠그고 약 10분 정도 지나면 퓨즈에서는 완전한 상시전원 퓨즈만 전기가 들어올 겁니다. 배터리보호모드가 차단하는 상시퓨즈전원도 꺼진 상태입니다.
운전석 좌측하단에 실내퓨즈박스 커버를 열어 줍니다.
퓨즈 위쪽에 체크포인트가 있으니 그 포인트에 배선테스터기를 찍으면 전기가 살아있는 퓨즈는 테스터기에 램프가 켜지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4. 체크 해 보니 아래와 같은 위치의 퓨즈가 ACC 퓨즈로 확인됩니다.
시거라이터, 워셔펌프, 조수석 창문, 운전석뒤 창문, 조수석뒤 창문, 운전석 창문
이렇게 6개 정도 ACC 퓨즈로 확인됩니다. 그래서 언더바디웰컴라이트 설치할 때 "운전석뒤창문" 퓨즈로 연결했나 봅니다.
이 ACC 퓨즈들은 주차 후 10분 정도 지난 후 체크하면 전기가 들어오지 않습니다. 차량 시동이 걸렸을 때만 전기가 들어오는 퓨즈입니다. 단순히 모터가 작동되는 퓨즈임으로 ACC 퓨즈용도로 사용해도 무난할 것 같습니다.
![]() |
![]() |
시거라이터 라인 좌측끝에 있는 "사이드미러" 5A퓨즈는 아마도 사이드미러 조정용 퓨즈인거 같았습니다.
항상 꺼져 있습니다. 아마도 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를 운전석도어에서 켰을 때만 들어오는 퓨즈 같습니다.
● ACC퓨즈 소켓에 듀얼퓨즈소켓 연결하기
맨 윗렬의 창문 퓨즈들은 용량이 커서 그냥 남겨 두기로 하고, 저는 시거라이터(15A) 옆에있는 워셔펌프(10A) 퓨즈 소켓을 사용해서 HUD스위치 케이블 전원을 연결하기로 했습니다.
공간이 나오지 않음으로 아래와 같은 전원연장소켓을 사용하려 합니다.
구글검색하다보니 알리에서 이런 제품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수직이나 세로로 만들어진 듀얼퓨즈소켓을 찾아 봤는데....그런 제품은 없었습니다.
실내퓨즈박스에 ACC 퓨즈소켓 간격이 좁아서 듀얼퓨즈홀더를 장착할 때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퓨즈박스 전원연장소켓을 이용하면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단, 이런 연장소켓 구입시에도 허용전압과 전류값, 그리고 퓨즈종류를 꼭 확인 후 사용하려는 퓨즈통합 용량과 전선 굵기에 따른 허용전류,전압을 꼭 확인하신 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르노코리아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실내퓨즈는 Mini(소형) 규격임으로 연장소켓이나 퓨즈도 Mini규격으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또한 허용전류도 듀얼소켓으로 사용하려고 하는 기본퓨즈용량 + 추가 퓨즈용량까지 고려해서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알리에서 구입한 제품은 32V, 25A까지가 허용전류 입니다.
최대허용전류가 15A인 제품은 사용하면 안될 꺼 같습니다. 그래서 좀 더 허용전류값이 큰 제품으로 주문했습니다.
워셔펌프 퓨즈가 10A 이고 HUD를 연결하는 듀얼퓨즈소켓에 5A짜리 퓨즈를 연결하면 전체용량이 15A 임으로
정격전류가 25A까지 사용 가능한 이 제품을 이용하면 문제가 없을 겁니다.
또 현재 시거라이터 소켓에 연결된 듀얼퓨즈소켓에 기존 15A+블랙박스보조배터리용 퓨즈 15A짜리가 두개 꼽아져 있음으로 여기에 사용해도 25A를 넘지 않는 제품임으로 이 제품이 딱 맞는 제품 같습니다.
*같은 퓨즈소켓 전원연장 케이블 제품인데 정격허용 전류가 15A짜리 제품도 있으니 구입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판매되는 제품의 상세설명에서 꼭 허용전류량을 확인 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알리익스프레스 상품중에서는 Choice 상품으로 구입하셔야지 좀 더 빠른 배송이 가능하오니 참고 바랍니다.
현재 주문 해 놓은 상태입니다. 제품 도착하면 이 전원연장소켓을 이용해서 HUD를 ACC 퓨즈로 연결하는 작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앗!! 제품이 어제 도착했지만.....상품정보가 잘못 되어서 제품을 잘 못 주문한 걸 알았습니다. ㅠㅠ
위 판매자가 Mini로 표기한 소켓은 LP mini 제품이었습니다. 그걸 그냥 mini로 표기 해 놓았더라구요.
국가에 따라서 규격표기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뭐! 이해는 합니다.
해당 판매자의 상품표기방식으로는 small 제품으로 구입해야 mini 제품이 맞네요.ㅠㅠ
소켓 모양을 확인하지 않고 이름만보고 주문한 제 잘못도 있으니, 그냥 반품은 하지 않고 small 제품으로 다시 구입하기로했습니다.
다시 1주일 정도 기다려 보겠습니다.
● 퓨즈박스 전원연장소켓 사용해서 듀얼퓨즈소켓 간섭없이 사용하기
*2025-04-07 드디어 주문한 Small size 퓨즈연장케이블이 도착되었습니다.
이어서 작업한 내용을 남깁니다.
1. 우선 시거라이터 퓨즈쪽에 꼽아 보았습니다.
어느정도 잘꼽아 지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식으로 꼽아서 사용하면 될 꺼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이런식으로 듀얼퓨즈소켓 케이블을 연장소켓에 꼽아주면 됩니다.
3. 그런데...전원연장소켓에 퓨즈삽입부위가 간격이 넓고 흔들리고 헐렁합니다.
이대로 사용했다가는 접촉불랭이 발생되어서 문제가 생길 거 같습니다.
4. 워셔펌프 퓨즈소켓에 연결할 듀얼퓨즈소켓을 전원연장소켓의 퓨즈삽입부 케이스를 분해해서 개조해보려고 했으나....
이 크기에 맞는 전선터미널 클림프단자가 없네요.ㅠㅠ
참고로 워셔펌프 퓨즈는 10A이고 HUD로 연결될 퓨즈는 5A짜리를 꼽아 주었습니다.
5. 이것저것 확인해 보니 안정적으로 전원연장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치가 필요했습니다.
먼저 듀얼퓨즈 사입부는 글루건으로 채워서 고정시켜줬습니다. 그러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6. 실내퓨즈박스쪽으로 삽입되는 전원연장소켓의 삽입부는 아래처럼 잘라줘야 합니다.
다리를 덮고있는 플라스틱이 좀 두꺼워서 워셔펌프 퓨즈소켓에 삽입시 간섭이 발생됩니다.
아래와 같이 깎아주면 간섭없이 알맞은 깊이로 실내퓨즈박스에 삽입이 가능합니다.
7. 아래와 같이 전원연장케이블소켓을 ACC 실내퓨즈박스 소켓에 꼽아주면 간섭없이 시거라이터퓨즈와 워셔펌프 퓨즈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씁니다.
8. 내부에서 부딫힘이 발생될 거 같은 연장선들은 면테이프로 감싸준 후 잘 정리해 줬습니다.
*퓨즈박스 소켓에 꼽아지는 전선까지는 면테이프로 전체를 다 감지 않아도 됩니다. 발열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전 너무 많이 감았네요.
잡소리가 발생될 부위를 다시한번 확인 후 커버를 닫아 주면 그 동안 계획했던 실내 퓨즈박스에 ACC 퓨즈소켓 두 자리를 동시에 사용하는 작업이 마무리됩니다.
9. OBD2 포트에 개조한 OBD2스위치케이블을 꼽아주고 아래쪽으로 나온 케이블이 흔들리지 않도록 빵끈이나 케이블 타이로 잘 고정 해서 정하새 줍니다.
10. 차량 시동을 걸고 HUD와 시거라이터퓨즈쪽으로 연결된 블랙박스보조배터리 충전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이 잘 되는지 확인해 봅니다.
약 1시간정도 주행해 보면서 연장케이블등에 발열상태를 확인해 줍니다.
이것으로 길고 기나긴 HUD용 OBD2 상시전원을 ACC 퓨즈전원으로 변경하기 포스팅을 마침니다.
이번 작업으로 알게 된 것은 그동안 차량용품 관련 부품이나 악세서리를 구입할 때 쿠팡,11번가 등 국내 쇼핑몰만을 이용해 왔었는데...그 곳에서 구입한 대부분의 상품들이 Made in China 였고, 익숙한 알리익스프레스 쇼핑몰에서도 1/3 가격으로 판매가 되고 있었고, 같은 상품이었다는 것을 뒤 늦게 알게 되었습니다. 그저 배송만 1주일 정도로 길게 걸릴 뿐이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상품을 구입할 때는 Choice 상품과 천원마트, 꽁돈대첩 이벤트 상품을 이용하시면 최소 5일 이내로 빠른 배송이 가능하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DIY (do-it-yoursel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노코리아 아르카나(XM3)하이브리드 누설전류(암전류) 방지-#2 트렁크 12V배터리 저전압 차단모듈 설치 (0) | 2025.03.18 |
---|---|
노트북 아답터로 미니 DC파워서플라이 만들기 (0) | 2025.03.11 |
르노코리아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12V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설치 (0) | 2025.01.12 |
르노코리아 아르카나(XM3) 워셔액 분사노즐(물노즐) 교체하기 (0) | 2025.01.01 |
르노코리아 아르카나(XM3) 리어범퍼 반사 리플렉터 포인트 스티커 몰딩 부착 (0) | 2024.12.31 |